크로스체인과 멀티체인의 차이

체인의정석
4 min readDec 6, 2022

--

크로스체인과 멀티체인의 차이에 대하여

Multi chain vs Cross chain

전에 람다 256을 다닐때 크로스체인 브릿지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다.

아무튼 이때 크로스체인 브릿지에 대하여 단어를 사용하느라 멀티체인과 크로스 체인 브릿지에 대한 차이에 대해서 정리를 해봤었는데

당시에는 비탈릭 부테린이 언급한 블록체인 트릴레마 중 멀티체인 생태계가 언급된 것을 보고

멀티체인 : 코스모스와 같은 레이어 0

크로스체인 :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

이 정도로 예시를 생각하고 글을 작성 했었다.

근데 상현님의 글을 보니 비탈릭 부테린이 cross roll up 형태의 서비스 (레이어 2)를 멀티체인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였다.

결국 상현 님에게 물어본 결과 크로스체인이냐 멀티체인이냐의 단어를 선정할 때는 서비스 입장에서 판단하면 구분이 쉽다고 한다.

서비스가 여러 체인에 서로 엮어서 상호 영향을 끼침 = 크로스체인 서비스

독립적인 체인들에 독립적으로 서비스 = 멀티체인 서비스

멀티체인과 크로스체인 서비스 예시

그럼 해당 가정 하에 다시 글을 살펴보겠다.

트위터 스레드를 보면 zone of sovereignty라는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자신의 주권에 대한 영역을 의미한다. 물론 이더리움의 입장이긴 하지만 이를 어느정도 고려하여 생각해보면 주권에 대한 영역을 신뢰성이 확보되는 하나의 레이어를 기준으로 돌아가는 다중 체인 생태계를 의미한다고 보고 구분 지을 수 있을 것이다.

예전에 람다를 다닐때 구현했던 NFT 브릿지의 경우 크로스 체인 서비스이다.

서비스를 구현하면서 루니버스와 이더리움간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2개를 Cross (교차)하여 사용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결국 자기 nft의 주권의 경우 이더리움 레이어가 아닌 랩드 nft가 넘어간 해당 체인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비탈릭 부테린이 언급한 cross roll up 형태의 레이어2의 경우에는 멀티체인 서비스이다.

여기서 말한 롤업 기반의 레이어 2 브릿지는 아래 필자가 작성한 stem cell NFT가 여기에 해당될 것이다.

한마디로 기존에는 토큰 브릿지와 같이 nft 하나하나를 컨트렉트에 락 해두고 다른 체인에서 풀어주는 식으로 진행이 되었으나, 이번에 제안된 stem cell NFT는 원본 체인에 해시값만 두고 이를 그대로 다른 체인에 옮겨둔 상태에서 다른 체인에서 원본 체인에 대한 해시값에 대한 증명만 zk snarks와 같은 영지식 증명을 이용하여 진행하면 된다고 보는 아이디어이다. 사실상 NFT와 같은 경우 모든 정보가 원래 체인 위에 올라가있지 않고 이렇게 해시값에 대한 증명만 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거래는 레이어2에서 이루어질 것이므로 사람들이 가치를 똑같이 느낄 수 있을것이라고 본다.

이런 stem cell NFT와 같은 형태로 서비스를 구현하는 입장에서 보면 이더리움 생태계 (1개의 생태계 , 1개의 zone of sovereignty)에서 Multi (다중) 체인을 사용한 서비스이다.

이런 형태의 레이어 2 브릿지에서 결국 자신의 주권에 대한 zone은 이더리움이 되기 때문에 이더리움 안에서의 멀티체인 서비스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를 구현하는 입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하느냐에 따라서 크로스체인인지 멀티체인인지가 정해지게 되며

브릿지의 방향 또한 서비스를 구현하는 입장에서 하나의 생태계 안에서 다양한 체인을 연결하였다면 멀티체인 서로 상이한 생태계를 연결한 서비스라면 크로스 체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Sign up to discover human stories that deepen y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Free

Distraction-free reading. No ads.

Organize your knowledge with lists and highlights.

Tell your story. Find your audience.

Membership

Read member-only stories

Support writers you read most

Earn money for your writing

Listen to audio narrations

Read offline with the Medium app

--

--

체인의정석
체인의정석

Written by 체인의정석

블록체인 현업 개발자/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블록체인학과/ member of CURG(Crypto United Research Group)/ 체인의정석 유튜버, 블로거

No responses yet

Write a response